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한국음악/한국음악/한국음악의 기초지식/한국의 악기

위키문헌 ― 우리 모두의 도서관.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한국의 악기[편집]

韓國-樂器

궁중에서 쓰던 연례악에서는 피리·대금·당적·가야금·거문고·아쟁·편종·편경·장구·좌고 기타 많은 악기들이 쓰인다. 그러나 민속음악에서는 피리·대금·해금·가야금·거문고·장구·북 등으로 그 쓰이는 악기의 수가 적다. 또 행진곡인 대취타(大吹打) 같은 음악에서는 태평소·나팔·소라·바라·장고·용고 같은 악기들이 쓰이는가 하면 문묘제례악 같은 음악에서는 지·약·소·훈·부·축·어 같은 보기 드문 악기들이 쓰이기도 하여 한국음악에 쓰이는 악기는 50-60여종에 이른다. 이들 악기들은 거문고·가야금과 같이 상고시대부터 우리나라에서 쓰여온 것도 있고, 피리·비파와 같이 서역에서 들어온 악기가 있는가 하면 편종·편경과 같이 중국 고대악기가 들어온 것도 있다. 또한 양금·운라와 같이 조선 말기에 들어온 것도 있다. 금·비파·공후 같은 악기는 이미 주법(奏法)이 끊어져 폐용(廢用)되고 있는 것도 있다. 오늘날 정악에서나 민속악에서 가장 활발하게 쓰이는 것은 역시 피리·대금·해금·가야금·거문고·장고 등인데 이들 악기들이 농현법과 같은 한국적인 음악표현에 적합한 기능을 발휘하기 때문으로 보이며 이 점은 이들 악기들이 대부분 향악이라는 점과 더불어 중요한 사실이다. 아쟁은 중국에서 기원되는 악기이지만 국악기에서 드문 저음기인데다 그 악기의 기능이 한국음악에 맞기 때문에 자주 쓰인다. 최근에 민속음악이나 신작국악에 자주 쓰이는 점은 이 점을 강조하고 있다.

한국악기의 분류[편집]

韓國樂器-分類

한국음악에 쓰는 악기들의 전통적인 분류방법은

두 가지가 있다. 하나는 악기의 재료에 의한 분류로 <증보문헌비고(增補文獻備考)>에서 보이는 분류법이다. 또 하나는 악기의 유래와 계통에 의한 분류로 <악학궤범(樂學軌範)>에 보이는 분류이다. 그 밖에 악기의 형태와 연주법에 의한 분류법이 있으니 이것은 서양악기의 분류이다.

한국악기의 재료에 의한 분류[편집]

韓國樂器-材料-分類

악기의 모든 재료에 의한 분류방법은 금·석·사·죽·포·토·혁·목 여덟 가지를 말하며 이것을 팔음(八音)이라 일컬어 왔다. 금부(金部) ― 쇠붙이로 만든 악기: 편종·특종·방향·징·꽹과리·나팔·바라

석부(石部) ― 돌을 깎아 만든 악기: 편경·특경

사부(絲部) ― 통에 실을 맨 악기: 거문고·가야금·해금·아쟁·비파·공후·금·슬·쟁

죽부(竹部) ― 대나무로 만든 악기: 피리·대금(젓대)·단소·당적·통소·중금·소지·약

포부(匏部) ― 바가지로 만든 악기: 생황

토부(土部) ― 흙을 구워 만든 악기: 훈·부

혁부(革部) ― 통에 가죽을 맨 악기: 장구·북·좌고·갈고·소고·용고·절고

목부(木部) ― 나무로 만든 악기: 박·어·축

양금·태평소·소라는 사람에 따라 일정치 않다. 양금은 금부에 넣기도 하고 사부에 넣기도 하며 태평소는 목부에 혹은 죽부에 넣기도 하고 소라는 토부에 넣기도 한다.

한국악기의 유래에 의한 분류[편집]

韓國樂器-由來-分類

그 악기가 어느 곳에서 나왔는가 하는 것과 또 어느 음악에 쓰였는가 하는 유래에 의한 한국악기의 분류방법으로 향악기·당악기·아악기로 나눈다.

아악기(雅樂器) ― 중국 상고시대에 궁중음악에 쓰이던 악기로 고려 예종 때부터 주로 제례악(祭禮樂)에 쓰여 왔다: 편종·편경·특종·특경·약·지·소·훈·금·슬·건고·응고·뇌고·진고·축·어·부

당악기(唐樂器) ― 중국의 민속음악에 쓰이던 악기로 신라 때부터 쓰여 왔다: 당피리·당적·통소·태평소·해금·당비파·월금·장고·방향·박·교방고

향악기(鄕樂器) ― 상고시대부터 한국에서 쓰였거나 당악기가 들어오기 이전에 서역에서 들어온 악기로 주로 향악에 쓰여 왔고 오늘날도 가장 중요한 악기에 속한다: 향피리·대금·거문고·향비파

한국악기의 형태와 연주법에 의한 분류[편집]

韓國樂器-形態-演奏法-分類

악기의 진동체의 형태와 그 연주법에 의한 분류로 서양악기와 같이 현악기·관악기·타악기로 나눈다.

현악기(絃樂器) ― 통에 명주실 혹은 철사를 매어 뜯거나 켜는 악기이다. 연주법에 따라서 탄현악기·찰현악기·타현악기로 나눈다.

탄현악기(彈絃樂器) ― 손가락이나 술대로 줄을 뜯는 현악기: 거문고·가야금·향비파·당비파·월금·금·슬·공후·대쟁 등이 있다.

찰현악기(擦絃樂器) ― 막대기나 활에 송진을 발라서 줄을 그어 소리내는 현악기: 해금·아쟁

타현악기(打絃樂器) ― 채로 줄을 쳐서 내는 현악기: 양금

관악기(管樂器) ― 관에 입김을 넣거나 서(혀, reed)를 꽂아 부는 악기로 목관악기·금관악기로 나뉘고, 목관악기는 홑서악기·겹서악기·무황악기(無簧樂器)로 나뉘는데 한국악기에는 홑서악기는 없다. 무황악기는 횡취악기·종취악기로 나눈다.

겹서악기(複簧樂器) ― 겹서(혀)를 꽂아 부는 악기: 향피리·세피리·당피리·태평소

횡취악기(橫吹樂器) ― 가로 부는 악기: 대금·중금·당적·지

종취악기(縱吹樂器) ― 세로 부는 악기: 단소·통소·소·약·적·생황 금관악기(金管樂器) ― 쇠붙이로 된 긴 관에 달린 취구에 입술을 진동시켜 소리내는 악기: 나발(소리는 금관으로 된 것이 아니지만, 연주법은 금관악기와 같다.)

타악기 ― 진동체를 채로 쳐서 소리내는 악기로 음높이가 없는 무율타악기와 음높이가 있는 유율타악기가 있다.

유율타악기(有律打樂器) ― 음높이가 일정하거나 여러 음을 내는 타악기: 편종·편경·방향·운라

무율타악기(無律打樂器) ― 음높이가 일정하지 않은 타악기: 꽹과리·징·바라·장구·북·소고·좌고·진고·용고

관악기[편집]

대금[편집]

관악기. 죽부악기. 향악기. 일명 '젓대'라고도 한다. 굵고 긴 대나무에 구멍을 뚫어 가로 부는 악기이다. 대금은 궁중 연례악·대풍류·가곡반주·민속무용곡·시나위 등 매우 넓게 쓰인다. 음빛깔이 매우 맑으며 저음은 깊고 신비로운 소리가 나고 고음은 청이 울리는 화창한 소리가 난다.

대금은 중금·소금(小芩)과 더불어 신라(新羅) 삼죽(三竹)에 들어 신라시대부터 있던 악기라고 전한다. 삼국사기에는 동해에서 난 대로 저를 만들어 부니 적병이 물러나고, 물결이 가라앉고, 질병과 가뭄이 그치므로 만파식적(萬波息笛)이라 불렀다고 한다.

이 저를 대금의 효시로 보기도 하나 지금은 고구려에 있던 악기가 신라에 전해진 것으로 보는 이도 있다. 신라 저에는 7조(七調)가 있으니 평조(平調)·황종조(黃鍾調)·아조(雅調)·월조(越調)·반섭조(般涉調)·출조(出調)·준조(俊調)이며 대금에 124곡, 중금에 145곡, 소금에 298곡이 있었다 한다.

대금은 쌍골죽(雙骨竹)으로 만들면 좋은 소리가 난다. 대나무로 된 관을 '관대'라 하는데 관대의 길이는 2자 5치가 되고 관의 안지름은 6푼쯤 된다. 위쪽 끝은 막혀 있고, 조금 내려서 가로 불어 김을 넣는 취구(吹口)가 있고, 좀더 내려와서 청공(淸孔)이 뚫렸는데 여기에 갈대 속청을 붙여 이것의 진동으로 특수한 음빛깔을 낸다. 관대의 중앙에는 앞쪽에 6개의 구멍(指孔)이 뚫렸고, 아래쪽에는 쓰이지 않는 칠성공(七星孔)이 하나-다섯이 뚫렸다.

향악계 음악의 연주에서 각 구멍에 손가락 짚는 법(按孔法)과 그 손가락을 떼어내는 음은 다음과 같다.

제1공 좌편 식지, 저취(低吹)·중려·내림가1(a1 flat), 평취(平吹)·중려·내림가2(a2 flat), 역취(力吹)·황종·내림마3(e3 flat).

제2공 좌편 장지, 저취·고선·사1(g1)·평취·고선·사2(g2), 역취·무역·내림라3(d3 flat)

제3공 좌편 무명지, 저취·태주·바1(f1), 평취·태주·바2(f2), 역취·남려·다3(c3)

제4공 우편 식지, 저취·황종·내림마1(e1 flat), 평취·황종·내림마2(e2 flat), 역취·임종·내림나2(b2 flat)

제5공 우편 장지, 저취·무역·내림라1(d1 flat), 평취·무역·내림라2(d2 flat)

제6공 우편 명지, 저취·남려·다1(c1), 평취·남려·다2(c2)

다 막으면 저취·임종·내림나(b flat), 평취·임종·내림나(b flat) 종묘악 및 당악계 음악을 연주할 때에는 향악계 음악을 연주할 때와 다르다. 당악계에서는 황종이 다(C)음이 되며 김을 여리게 넣는 저취(低吹)법이 없다. 각 구멍에 손가락 짚는 법과 그 손가락을 떼어내는 음은 다음과 같다.

제1공 좌편 식지, 평취·남려·가2(a2), 역취·협종·올림라3(d3 sharp)

제2공 좌편 장지, 평취·임종·사2(g2), 역취·태주·라3(d3)

제3공 좌편 무명지, 평취·중려·바2(f2), 역취·황종·다3(c3)

제4공 우편 식지, 평취·고선·마2(e2), 역취·무역·올림가2(a2 sharp)

제5공 우편 장지, 평취·태주-협종·라2-올림라2(d2-d2 sharp)

제6공 우편 무명지, 평취·황종·다2(c2)

다 막으면 평취·무역·올림가1(a1 sharp)

시나위 청은 제2공이 된다.

중금[편집]

한국 관악기. 죽부악기. 향악기. 굵고 긴 대나무에 구멍을 뚫어 가로부는데 대금보다 좀 작다.

맑고 고운 소리를 낸다. 옛날에는 무용음악 및 제향악 등에 쓰였으나 근래에는 별로 쓰이지 않는다. 대금·소금(小芩)과 더불어 신라(新羅) 삼죽(三竹)에 들며 신라 때부터 쓰던 악기이다. 오래된 황죽(黃竹)으로 만든다. 길이와 굵기는 대금보다 약간 작을 뿐 구조는 거의 같다. 대금과 같이 취구(吹口)와 지공 6개와 칠성공(七星孔)이 있다. 청공(淸孔)은 옛날에 한때 쓰였다고 하나 지금은 없다. 대금은 황종이 내림마(E flat)이나, 중금은 황종이 다(C)로 되어서 당악계 음악에 잘 맞게 되었다. 대금과 같이 저취(低吹), 평취(平吹), 역취(力吹) 등 주법이 있다.

당적[편집]

唐笛

관악기의 하나. 죽부악기. 당악기. 비교적 가늘고 짧은 대나무에 구멍을 뚫고 가로 부는 악기이다. 옥을 굴리듯 맑은 소리가 난다. 본래 당악계에 쓰던 것이나, 현재는 '보허자' '낙양춘' 같은 당악은 물론 종묘제향악·향악계 연례악 등에 쓰인다. 중국에서 들어온 악기로, 고려 때(문종) 쓰인 기록이 있으므로 고려 초기부터 쓰여 온 악기라 하겠다. 직경이 9푼쯤 되는 해묵은 황죽(黃竹)을 길이가 1자 4치쯤 되게 잘라서 위끝은 봉하고 끝에서 3치쯤 내려와 취구(吹口)를 뚫고 그 밑에 차례로 손 짚는 구멍(指孔)을 6개 뚫는다. 부는 법은 대금과 같이 머리쪽을 왼편 어깨에 얹고 가로 분다. 음넓이는 아래 임종에서 위임종까지(내림나1- 내림나3·b1 flat-b3 flat) 2옥타브이다.

[편집]

관악기의 하나. 죽부악기. 아악기. 굵고 짧은 대나무에 구멍을 뚫고 취구에 따로 의취를 달고 가로 부는 악기이다. 고음악기로서, 소리는 부드럽고 우아하다. 문묘제향악에만 쓰인다. 고대 중국악기이며, 우리나라에서는 고구려와 백제에서 썼다는 기록이 있다. 길이 1자 1치 4푼, 안지름(內徑) 5푼이 되게 황죽으로 만들고 취구에 높이 4푼 되게 의취를 단다. 머리쪽 아래에 1개, 관대 위에 4개의 지공이 있고, 꼬리 끝을 십자형으로 약간 깎는다. 손 짚는 법은 왼손 엄지로 뒤에 있는 제1공, 식지로 위에 있는 제2공, 장지로 제3공, 오른손 식지로 제4공, 장지로 제5공, 소지로 꼬리의 십자공을 여닫는다. 음넓이는 황종·다(c)에서 협종·올림라2(d2 sharp)로 한 옥타브 조금 넘는다. 지는 문묘악에 쓰이기 때문에 구멍을 반만 짚는다든가 십자공을 사용해서 12율을 낸다.

[편집]

簫 관악기의 하나. 죽부악기. 아악기. 16개의 가는 대나무에 각각 취구를 만들고 길이대로 차례로 묶어 놓고 부는 악기이다. 순임금 때부터 있었다는 중국 고대악기이다. 우리나라에는 고려 예종 때 들어온 것으로 기록되어 있으나, 고구려의 고분 벽화에도 소가 보인다.

가는 해죽(海竹)으로 된 대나무관을 길이 1자 4치쯤 되게 하여, 16개를 나무로 된 봉황(鳳凰)형 틀에 일렬로 얹어 놓는다. 관대마다 취구를 만들고, 관대의 밑을 밀로 길고 짧게 막아서 음의 높이를 조절해 놓았다. 틀을 양손에 쥐어들고 입으로 관 하나하나를 찾아 분다. 음넓이는 제1관(第一管) 황종(다2·c2)에서부터 제16관협종(올림라3·d3 sh­arp)까지 2옥타브 좀 넘는다. 문묘제례악에 쓰이는 까닭에 12율 4청성으로 조율되어 있다.

[편집]

관악기의 하나. 죽부악기. 아악기. 굵은 대로 구멍을 뚫어 세로 부는 악기이다. 문묘제례악에만 쓰이는 보기 드문 악기이다. 서역에 기원을 둔 고대 중국악기로서 우리나라에는 고려 예종 때 들어왔다. 황죽으로 만들며, 지공이 앞에 셋밖에 없는데, 12율을 연주하므로 구멍의 반을 여는 어려운 주법을 쓴다. 음넓이는 황종(다·c)에서 응종(나·b)까지 한 옥타브쯤 된다. 문묘제례악에 있는 육일무(六佾舞)의 문무(文舞)에 이 악기를 들고 춤춘다.

[편집]

관악기의 하나. 죽부악기. 아악기. 대나무에 구멍을 뚫어 세로 부는 악기. 문묘제례악에만 쓰이는 보기 드문 악기이다. 중국 고대악기로, 고려 예종 때 우리나라에 들어왔다. 대나무로 길이 1자 6치, 안지름 7푼으로 뒤에 1개, 앞에 5개의 구멍(指孔)을 파고 통소와 같이 세로 분다. 뒤에 있는 제1공은 왼손 엄지로, 앞에 있는 제2공은 왼손 식지로, 제3공은 왼손 장지로, 제4공은 오른손 식지로, 제5공은 오른손 장지로, 제6공은 오른손 무명지로 짚는다. 음넓이인 황종·다(c)에서 협종·올림라1(d1 sharp)까지이고 문묘악에 쓰여 12율 4청성을 내기 때문에 구멍을 절반 열기도 하는 주법을 쓴다.

퉁소[편집]

洞簫 관악기기의 하나. 죽부악기. 당악기. 굵은 대나무에 구멍을 뚫어 세로 부는 악기. 소리는 호소하는 듯하고 애수적이다. 예전에는 제례악이나 연례악에 편성되었으나 현재는 향악의 독주악기로 애용되고 민속음악에서도 '퉁애'라는 이름으로 쓰인다. 중국에서 일찍부터 쓰던 악기로, 우리나라에서는 고려 때 쓰였다는 기록이 있다. 오래된 대나무(黃竹)로 길이는 1자 8치 2푼, 안지름은 2푼이 된다. 머리쪽에 김을 넣는 '부서'를 만들고, 머리쪽에서 4치쯤 내려와서 뒤쪽에 구멍(指孔) 1개, 그 밑에 앞쪽으로 구멍 5개를 뚫는다. 정악에서 쓰이는 퉁소는 청공(淸孔)이 없고 민속악에서 쓰이는 통소(퉁애)는 머리쪽에서 3치쯤 내려와서 앞쪽에 갈대청을 붙이는 청공(淸孔)이 있다.

단소[편집]

短簫

관악기의 하나. 죽부악기. 조금 가는 대나무로 구멍을 뚫어 세로 분다. 줄풍류·가곡반주 등에 쓰이고, 향악의 독주, 생황과의 2중주, 양금과의 2중주, 양금 및 해금과의 3중주 등으로 쓰인다. 중국에서 조선 말에 들어온 것으로 알려졌으나 확실한 것은 모른다. 오래된 대나무를 써 길이 1자 5치 4푼, 안지름이 4푼으로 되었다. 머리쪽에 김을 넣는 부서가 있고, 머리쪽에서 8푼 내려와 뒤쪽에 1개, 더 내려와서 앞쪽에 4개의 구멍이 있다. 구멍에 손 짚는 법과 그 짚은 손가락을 떼어내는 음은 다음과 같다.

제1공 왼손 엄지, 평취·태주·바2(f2), 역취·태주·바3(f3)

제2공 왼손 식지, 평취·황종·내림마1(e1 flat), 역취·황종·내림마2(e2 flat)

제3공 왼손 장지, 평취·무역·내림라2(d2 flat), 역취·무역·내림라3(d3 flat), 아주 세게 불면 중려·내림3(g3 flat)·제3공 반만 막고 평취하면 남려·다2(c2), 제3공을 떼고 제4공을 막고 역취하면 남려·다3(c3)

제4공 오른손 식지, 평취·임종·내림나1(b1 flat), 역취·임종·내림나2(b2 flat)

제5공 오른손 장지, 평취·중려·내림가1(a1 flat), 역취·중려·내림가2(a2 flat)

오른손 장지를 써 전부 막으면 협종·내림사1(g1 flat)가 되나 실제는 쓰지 않는다.

피리[편집]

관악기. 죽부악기. 가는 대나무에 세로 겹서 복황(複簧, double reed)을 꽂아 분다. 피리에는 중간 굵기의 향피리, 가는 세(細)피리, 굵은 당(唐)피리, 세 종류가 있는데 향피리·세피리는 향악기에 들고, 당피리는 당악기에 든다. 향피리는 '대피리' 혹은 '사관'이라고도 부르는데 향악계 음악·대풍류·민속무용음악에 쓰이고, 세피리는 가곡·가사·시조의 반주, 줄풍류 합주에 쓰인다. 당피리는 당악계 음악에 쓰인다. 향피리 중에서 시나위나 민요에 쓰이는 것은 좀 가늘게 되었는데 '중피리'라 하여 구분하여 부르기도 하며 전라도·경남 서남부의 무속음악에는 좀 굵은 것을 쓰기도 한다. 음빛깔은 애절하고 목가적이다. 피리는 서역계 악기로 고구려에 먼저 들어오고 뒤에 백제·신라에 전해진 것 같다. 백제 때에는 소(小)피리·대(大)피리·도피(桃皮)피리가 사용되었다는 기록이 있다. 당피리는 고려 광종(光宗) 때에 중국에서 들어왔다 한다. 향피리는 길이 8치 1푼, 관(管)의 안지름이 3푼이 되는 대나무(黃竹)에 앞에 일곱, 뒤에는 하나의 구멍을 파고 대나무 한 끝에 겹으로 된 서(舌)를 꽂아 분다. 세피리는 향피리와 같으나 안지름이 약간 작고, 당피리는 향피리보다 굵어서 안지름이 4푼쯤 되고 길이는 향피리보다 좀 작다. 위쪽에서부터 제1공(第一孔), 제2공이라 하고 부르는데 각 구멍에 짚은 손가락을 떼어내는 음은 다음과 같다. 향악계 음악은 황종(黃鍾)이 내림마(E flat)가 된다.

제1공 우편 엄지, 남려-태주·다2-바2(c2-f2)

제2공 우편 식지, 임종·내림나1(b1 flat)

제3공 우편 장지, 중려·내림가1(a1 flat)

제4공 우편 무명지, 태주·바1(f1)

제5공 좌편 식지, 황종·내림마1(e1 flat)

제6공 좌편 장지, 무역·내림라1(d1 flat)

제7공 좌편 무명지, 남려·다1(c1)

제8공 좌편 소지, 중려·내림나(b flat)

전부 막으면, 중려·내림가(a flat)

어느 구멍에서나 피리 서를 깊게 혹은 얕게 물든가 혹은 김을 세게 혹은 여리게 해서 온음(全音) 정도의 음조절은 가능하다. '여민락만'·'보허자'·'낙양춘' 같은 당악계 음악을 향피리로 연주할 때에는 한 구멍씩 치켜 잡는다. 각 손가락을 떼어, 내는 음은 다음과 같다. 당악계 음악은 황종이 다(C)음이 된다.

제1공 우편 엄지, 황종-중려·다2-바2(c2-f2)

제2공 우편 식지, 무역·내림나1(b1 flat)

제3공 우편 장지, 남려·가1(a1)

제4공 좌편 식지, 임종·사1(g1)

제5공 좌편 장지, 중려·바1(f1)

제6공 좌편 무명지, 협종·내림마1(e1 flat)

제7공 좌편 소지, 태주·라1(d1)

제7공을 막으면 황종·다1(c1)

길타령과 같은 행악(行樂)에서도 한 구멍씩 치켜잡는다. 반염불·허튼타령·굿거리 같은 민속 무용곡에서도 한 구멍씩 치켜잡는다. 시나위에서는 내려잡고 제3공을 떼어 '단오관' 청을 잡는다.

당피리는 향피리와 손가락 짚는 법과 조율이 다르다. 당피리는 황종이 다(C)음이 되고 각 손가락 짚는 법과 그 손가락을 떼어서 소리내는 음은 다음과 같다.

제1공 우편 식지로 막고 쓰지 않는다.

제2공 우편 엄지, 황종-협종·다2-올림라2(c2-d2 sharp)

제3공 우편 장지, 무역·올림가1(a1 sharp)

제4공 우편 명지, 남려·가1(a1)

제5공 좌편 식지, 임종·사1(g1)

제6공 좌편 명지, 협종·올림라1(d1 sharp)

제7공 좌편 소지, 태주·라1(d1)

전부 막으면 황종·다1(c1)

태평소[편집]

太平簫

관악기. 당악기, 쇄납·호적(胡笛), 혹은 날나리라고도 한다. 나무로 된 관에 겹서를 꽂아 부는 악기이다. 소리는 진중하지 못한 면이 있으나 화려하다. 종묘제향악·대취타·농악에 쓰인다. 호적은 본래 서역악기로 중국에서도 쓰였고 우리나라에서도 일찍부터 군악(軍樂)에 쓴 것 같으나, 확실한 연대는 알려져 있지 않다. 유자나무·대추나무 등 단단한 나무의 속을 파서 길이 9치 2푼의 관을 만들되 부는 쪽이 가늘고 나발쪽이 약간 굵은 원추형으로 한다.

관대 앞에는 7개, 뒤에 1개의 구멍을 뚫고 끝에는 놋쇠로 나발주둥이(벌렁이-銅八郞)를 달고 위에는 놋쇠로 된 동구(조롱목-銅口)를 달고 여기 갈대로 된 서(혀-舌)를 꽂아 분다. 동구는 6푼, 주둥이는 5치이므로 태평소 전체의 길이는 1자 5치 2푼이다. 벌렁이의 안지름은 4치 4푼이다.

생황[편집]

笙簧

관악기의 하나. 포부악기. 아악기. 나무통에 큰 쇠청(쇠붙이 혀)을 붙인 크고 작은 대를 꽂아서 부는 악기. 옛날에는 나무통이 아닌 박통을 썼다 하여 포부악기(匏部樂器)로 친다. 매우 맑은 소리가 난다. 예전에는 아악에 썼으나, 오늘날에는 쓰는 일이 별로 없는 드문 악기이다.

생황은 고대 중국악기로, 고려 때의 기록에 엿보이지만 그 이전 고구려·백제에도 있었다. 예전에는 박통(匏)을 썼으나 뒤에 나무통으로 바꿨다.

나무통의 위쪽에 작은 구멍을 여러개 뚫고 대나무(竹管)를 꽂는다. 대나무 아래에는 놋쇠로 된 쇠청을 밀로 붙이고, 대나무 위쪽은 구멍이 뚫렸는데, 이 구멍을 막으면 소리가 난다. 나무통 옆에는 각 대나무관과 통하는 큰 구멍이 하나 뚫렸는데, 여기에 입으로 김을 넣으며 손가락으로 대나무 위의 구멍을 막았다 떼었다 하며 연주한다. 음넓이는 황종(다2·c2)에서 응종(나2·b2)으로 한 옥타브쯤 되며, 12율로 조율되었다.

[편집]

塤 관악기의 하나. 토부악기. 아악기. 흙을 빚어 저울추 모양으로 만들고, 여러개의 구멍을 뚫어 구워 만들어 분다. 문묘제례악에만 쓰이는 보기 드문 악기로, 소리는 부드럽고 어두운 편이다. 고대 중국의 악기로, 우리나라에는 고려 예종 11년에 들어왔다.

진흙이나 백면토를 황토에 섞어 만들어 굽되 위끝은 뾰족하게, 밑은 평평하게 저울추 모양으로 하고 맨 꼭대기에 취구를 뚫고, 앞에 3개, 뒤에 2개의 구멍(指孔)을 뚫는다. 취구에 입김을 넣어 부는데, 오른손 엄지로는 뒷면 오른편 구멍(제1공)을, 왼손 엄지로는 뒷면 왼편 구멍(제2공)을, 왼손 식지로는 앞면 왼편구멍(제3공)을, 오른손 식지로는 앞면 오른편구멍(제4공)을, 오른손 장지로는 앞면 아랫구멍(제5공)을 여닫는다. 문묘제례악에 쓰이므로, 구멍을 반만 막는 주법을 섞어가며 12율을 낸다. 음넓이는 황종·다(c)에서 응종·나(b)까지이다.

소라(나각)[편집]

관악기의 하나. 토부악기. 큰 소라껍데기 꽁무니에 구멍을 뚫고 부는 악기이다. 자연생이라 하여 편의상 토부악기로 친다. 행진곡인 대취타에서 쓰인다.

소리는 '뿌우'하는 지속음을 낸다. 고려 의종 때 썼다는 것이 최고(最古) 기록이다. 바다에서 나는 매우 큰 소라를 잡아다 살을 꺼내고 꽁무니 뾰죽한 곳에 구멍을 뚫고 취구를 내서 나발과 같이 불어 입술의 진동으로 소리를 낸다. 음높이는 소라의 크기에 따라 다르다.

나발[편집]

관악기의 하나. 금부악기. 긴 금속관에 입술을 대고 분다. 행진곡인 대취타와 농악기에서 쓰인다. 크고 긴 보속음을 낸다.

중국에서 예로부터 쓰여 온 악기로 우리나라에도 오래 전부터 쓰여 왔는데, 언제부터 쓰기 시작했는지는 확실한 기록이 없다. 놋쇠로 된 가는 관으로 되었으며, 한쪽에는 입술을 대고 부는 취관(mouth piece)이 있고, 한쪽에는 김이 나가 소리가 울려 퍼지는 벌렁이(bell)가 달려 있다. 관은 셋으로 접을 수 있게 마디가 있다. 음은 대개 다(c)음을 쓰며, 배음은 잘 안쓰고 기음(基音)만 길게 지속한다.

현악기[편집]

아쟁[편집]

牙箏

현악기. 사부악기. 당악기. 나무통에 명주실로 된 줄 7개를 매어 활로 켜는 악기이다. 소리는 깊고 장엄하며 저음악기로서 매우 중요한 구실을 한다. 당악계와 향악계 연례악에 쓰이는데 최근에는 산조 등 민속음악에서도 쓰이고 있다. 중국에서 알쟁(軋箏)이란 이름으로 쓰이던 악기로 고려 때부터 당악에 쓰이던 것이 조선왕조 때에는 향악에도 널리 쓰이게 되었다. 길이 5자, 넓이 8치의 오동나무 통에 7개의 줄을 얹었다. 머리쪽의 좌단(坐團)에 있는 현침(絃枕)과 꼬리쪽에 있는 현침에 7개의 줄을 얹고 안족(雁足) 비슷한 기둥(柱)을 버티어 놓았다. 개나리나무로 된 가는 활에 송진(松脂)을 칠하여 줄을 켠다. 요새는 첼로 활을 빌려 쓰기도 한다. 머리쪽 밑에는 발(足)이 있고 꼬리쪽 밑에는 운족(雲足)이 있다. 오른손에 활을 쥐고 줄의 현침 가까이를 문질러 켜고 왼손은 식지와 장지로 주 가까이 줄을 눌러 농현을 한다. 연주자 쪽에서 먼 쪽으로부터 제1현, 제2현하고 부르는데 줄은 긴 데서부터 차츰 짧아진다.

조현법은 당악계 음악에서 평조 조현법의 향악계 음악에서 평조, 그리고 계면조 조현법으로 세 가지가 있다.

해금[편집]

奚琴

현악기. 사부악기. 당악기. 큰 대나무관에 오동판을 붙이고 긴 대를 달아 두 개의 줄을 통과 대에 매고 말총으로 된 활을 켜는 악기이다. 악기 재료는 8음이 고루 끼었으나 사부로 보는 것이 편리하다. 소리는 건조하고 탁한 맛이 있으나 명인의 연주를 들으면 애련하고 멋스러운 이 악기의 본색이 나타난다. 해금은 연례악·대풍류·줄풍류·세악(細樂)·가곡반주에 쓰이고 그 밖에 시나위·민속무용곡 등에 두루 쓰인다. 해금은 진(秦)의 현도(에서 나온 것으로 동북방 유목민족 호중 해부(胡中 奚部)가 즐겨 쓰던 악기라 한다. 이것이 중국에서도 쓰여지고 우리나라에도 들어왔으나 그 연대는 확실히 알 수 없다. 직경 3치 가량 되는 대나무 통에 길이 2자, 굵기 4푼쯤의 대를 세워 끝에 줄을 감는 돌깨(주해)를 꽂는다. 통 한쪽에 오동판을 대어 공명이 잘 되게 하고, 대가 통을 뚫은 데에는 쇠로 된 속주대(鐵柱)를 꽂고 금재비(甘自非)라 하는 철판을 연결하여 이것과 대 끝에 꽂은 돌깨와 두 개의 줄을 맨다. 줄과 오동복판(腹板) 사이에 박(朴)으로 된 북쇠(원산)를 버티어 세운다. 가늘고 자반(尺半) 남짓한 활대에 말총을 매고 송진을 묻혀 줄 사이에 끼어서 켠다. 통을 왼편 무릎에 놓고 대를 위로 세워 왼손가락으로 줄과 대를 감아쥔다. 오른손으로 활손잡이를 잡아 켜고, 왼손가락을 줄에서 댔다 떼었다 하여 음을 조절한다. 줄의 안쪽이 중현(中絃), 바깥쪽이 유현(遊絃)이라 하는데 중현은 황종, 유현은 임종으로 맞추므로 두 줄의 음정은 5도이다.

거문고[편집]

玄琴

현악기. 사부악기. 향악기. 통나무 통에 명주실 여섯을 매어 술대로 뜯는 악기이다. 줄풍류를 비롯하여 가곡반주·산조에 쓰인다. 소리는 깊고 꿋꿋하며 장중하고 남성적이어서 예로부터 백악지수(百樂之首)라 하여 선비들이 음악의 도를 닦는 그릇으로 소중히 여겨 왔다.

<삼국사기>의 기록에는 중국 진(晋)나라에서 보내온 칠현금(七絃琴)을 타는 이가 없다가 제이상(第二相) 왕산악(王山岳)이 그 본 모양은 그대로 두고 제도를 많이 고치어 만들고 백여곡을 지어 연주하매, 검은 학(鶴)이 날아들어 춤을 추었다고 하여 현학금(玄鶴琴)이라 하다가 뒤에 현금(玄琴)이라 했다 한다. 그러나 진나라 이전 고구려 고분벽화에 거문고 원형으로 보이는 악기가 있으므로 거문고는 그 이전부터 원형이 고구려에 있던 것 같다고 하는 설도 있다. 거문고는 신라에 전해져서 신라인 옥보고(玉寶高)가 지리산에서 50년 동안 수련한 끝에 30곡을 지어 속명득(續明得)에게 전하고 속명득은 귀금선생에게, 귀금선생은 안장(安長)과 청장(淸長)에게, 안장은 극상(克相)과 극종(克宗)에게 가르쳤다고 한다. 극종은 7곡을 짓고, 극종 뒤에는 세상에서 거문고를 하는 이가 많았다고 한다. 왕산악이 지은 백여곡은 곡명도 전하지 못하고 옥보고가 지은 상원곡(上院曲)·중원곡(中院曲)·하원곡(下院曲)·남해곡(南海曲) 등 30곡은 이름만 전한다. 거문고 명칭이 현학금에서 나왔다는 <삼국사기> 기록을 그대로 보지 않고 '거문고'는 '검은고'로 고구려금(高句麗琴)이라고 해석하는 설도 있다. 거문고통의 앞면은 오동나무판, 뒷면은 밤나무판으로 되었다. 통의 길이는 5자(五尺) 정도, 넓이는 5치 8푼(五寸八分) 정도가 된다. 거문고의 머리쪽을 용두(龍頭), 꼬리쪽을 봉미(鳳尾), 용두의 윗면을 좌단(坐團)이라 한다. 통 위에는 딴딴한 회목(會木)으로 된 16개의 괘가 차례로 열지어 세워져 있다. 용두 좌단과 통 사이에는 현침(絃枕)이 질려 있다. 통 앞면 위는 6개의 줄이 용두와 봉미에 매어 있는데, 용두 쪽에는 줄이 뒷면 진괘에 매어져 있다. 줄은 가까운 쪽에서부터 문현(文絃)·유현(遊絃)·대현(大絃)·괘상청·기괘청·무현(武絃)이라 부른다. 유현·대현·괘상청은 괘 위에 얹혀 있고, 문현·기괘청·무현은 안족(雁足)으로 받쳐져 있다. 대현이 가장 굵고 문현·무현이 다음이고 괘상청이 그 다음, 기괘청이 그 다음 가늘고 유현이 가장 가늘다. 오른손에 단단한 해죽(海竹)으로 된 술대(匙)를 쥐고 현침 가까이 줄을 내리치거나 거슬러치는데 술대로 앞면 통이 상하는 것을 막기 위하여 부드러운 가죽으로 된 대모(玳瑁)를 통에 덮는다. 왼손은 손가락으로 줄을 눌러 괘를 짚어서 음을 내는데 운지법(運指法)은 다음과 같다.

소지(小指-새끼손가락)는 문현 위에 붙이고, 무명지는 유현을, 장지는 대현을, 식지(食指)와 엄지는 유현과 대현을 두루 누른다.

거문고 구음법(口音法)은 줄과 누르는 손가락에 따라 정해져 있으며 괘는 바뀌어도 구음은 변하지 않는다.

대현을 장지로 누르면 '덩'

대현을 식지로 누르면 '둥'

대현을 엄지로 누르면 '등'

유현을 무명지로 누르면 '당'

유현을 식지로 누르면 '동'

유현을 엄지로 누르면 '징'

문현을 거쳐 유현의 어느 음을 2박에 걸쳐 탈 때에는 '쌀갱'

문현을 거쳐 유현의 어느 음을 한 박 안에서 빠르게 이어 탈 때네는 '싸랭'

문현을 거쳐 대현의 정해진 음까지 탈 때 장지로 짚은 음은 '슬기덩', 식자로 짚은 음은 '슬기둥', 엄지로 짚은 음은 '슬기등'이라 부른다.

가야금[편집]

伽倻琴

현악기. 사부악기. 향악기. 일명 가얏고라고도 한다. 오동나무 통에 명주실로 된 열두 줄을 매어 손가락으로 뜯는 악기이다. 줄풍류를 비롯하여 가곡반주·가야금산조·가야금병창 등에서 연주된다. 거문고의 소리가 꿋꿋하고 아정한 데 비하여 가야금 소리는 부드럽고 감정적이며 아름답다. 요즈음 일반에게 가장 많이 사랑받는 악기 중의 하나이다. 가야금의 역사는 상당히 오래된 것이라 한다. 삼국사기에는 가야국의 가실왕(嘉實王)이 당나라 악기를 보고 만들었다고 전하지만 그 이전 변한·진한·신라에 가야금과 비슷한 악기가 있었다는 기록이 있는 것으로 미루어 '고'라는 이름을 가진 악기가 가야금 원형으로 고대 한국에 있었다는 학설이 있다. 가실왕은 이 '고'라는 악기에 중국의 쟁(箏)을 본떠서 개작한 것이라고 추측된다. 가실왕은 우륵(于勒)에게 명하여 하가라도·상가라도·보기·달기·사물·물혜·하기물·사자기·거열·사팔혜·이사·상기물 12곡을 짓게 했다. 가야국이 망하자 우륵은 신라에 건너가 진흥왕의 명을 받아 계고(階古)·법지(法知)·만덕(萬德)에게 전수하였는데 제자들은 12곡에서 아정한 5곡으로 줄였다.

가야금에는 고형(古形)을 지닌 풍류(風流)가야금과 개조된 형태를 지닌 산조(散調)가야금이 있다. 풍류가야금은 정악(正樂)에 쓰이는 것으로 일명 법금(法琴)이라고 하는데, 법금은 원래 오동 통나무로 뒷면을 파서 공명통을 만들고 꼬리에 양쪽이 쭉 뻗은 양이두(羊耳頭)가 달린 형태를 가졌다. 오늘날 풍류가야금은 보통 윗면이 오동판, 아랫면은 거문고처럼 밤나무판으로 되었고 꼬리에 양이두가 좁게 축소되어 있다. 판의 길이는 5자(五尺) 4치(寸), 넓이는 8치 5푼(分이)며 머리쪽에는 현침(絃枕)이 걸려있고 그 옆에 구멍이 뚫려 있어서 담괘를 달고 줄 한끝을 매게 되어 있다. 줄의 다른 끝은 무명으로 된 굵은 부들이 달리고부들을 꼬리에 매고, 맨 나머지는 양이두에 감는 것이었으나 요새는 그냥 서로 얽어 맺기도 한다. 줄은 12줄로 줄 사이는 6푼(分)이 된다. 줄은 안족(雁足)을 세워 줄을 버티고 안족을 좌우로 움직여 조율(調律)한다. 줄은 제1현이 가장 굵고 차츰 가늘어진다. 타는 법은 왼손으로 안족 바깥을 식지와 장지로 가지런히 모아 눌러서 농현(弄絃)한다. 엄지·무명지·소지는 자연스럽게 편다. 오른손은 주로 식지·엄지·장지로 줄을 현침 가까이 뜯는다. 소지는 항상 현침 옆에 뉘인다. 산조가야금은 풍류가야금보다 줄 사이가 좁고 전체 크기도 약간 작다.

가야금 조현법은 정악식(正樂式)과 산조식(散調式)이 있다. 정악식은 다음과 같다.

제1현 황종·내림마(E flat)

제2현 태주·바(F)

제3현 중려·내림가(A flat)

제4현 임종·내림나(B flat)

제5현 황종·내림마(e flat)

제6현 태주·바(f)

제7현 중려·내림가(a flat)

제8현 임종·내림나(b flat)

제9현 남려·다1(c1)

제10현 황종·내림마1(e1 flat)

제11현 태주·바1(f1)

제12현 중려·내림가1(a1 flat)

위 조현법은 이른바 평조(平調) 조현법인데 그 밖에 계면조(界面調) 조현법, 우조(羽調) 조현법이 있다. 산조 조현법은 다음과 같다. 제1현 청·사(G)

제2현

흥·다(c)

제3현

둥·라(d)

제4현

당·사(g)

제5현

동·가(a)

제6현

징·다1(c1)

제7현

땅·라1(d1)

제8현

지·마1(e1'f1')

제9현

찡·사1(g1)

제10현 칭·가1(a1)

제11현 쫑·다2(c2)

제12현 쨍(쫑)·라2(d2)

산조가야금은 연주자에 따라서 음높이도 다르고 기보법도 다르다. 산조의 계명청 및 시나위청은 흥·다(c), 징·다1(c1), 쫑·다2(c2)이고 사람에 따라서는 '다'음을 '사'음으로 5도 올려 적기도 한다.

대쟁[편집]

大箏

탄현악기의 하나. 사부악기. 당악기. 긴 오동나무 통에 명주실 13개 혹은 15개를 매어 손가락으로 뜯는다. 예전에 당악계 음악에서 쓰였으나 지금은 쓰는 일이 거의 없다. 가야금과 비슷하나 보다 커서 소리가 웅장하고 밝고 부드럽다. 그냥 쟁이라고도 불리며, 중국 고대부터 쓰이던 중국 속악기(俗樂器)로, 우리나라에도 일찍이 고구려에 이와 비슷한 악기들이 있었던 것 같고, 고려 예종 때에 중국의 쟁이 들어왔다. 가야금이나 거문고처럼 오동나무로 통을 만들고 뒤판 네 귀퉁이에 오목(烏木)이라 불리는 발이 붙어 있다. 줄은 13개 혹은 15개를 매는데, 13개 맨 것을 그냥 쟁, 15개 맨 것을 대쟁이라고 구별하여 부르기도 한다. 가야금 안족과 비슷한 기둥(柱)으로 줄을 괴고 뜯는 법은 가야금과 같다. 조현법은 다음과 같은데, 12율을 내기 위하여 기둥의 뒤를 눌러서(力按) 반음을 하나씩 더 내기도 한다.

[편집]

琴 탄현악기의 하나. 사부악기. 당악기. 긴 오동나무 통에 5개 혹은 7개의 줄을 매어 손으로 뜯는다. 예전에 문묘제례악에 쓰였고, 또 선비들의 수양으로 연주해 왔으나 지금은 그 연주법이 끊어졌다. 다만 문묘제례악에 제도상 갖추어질 뿐이다. 중국에서 상고시대부터 쓰인 악기로, 우리나라에서는 고려 예종 11년에 중국에서 들여온 기록이 있다. 윗면은 오동나무, 아랫면은 밤나무로 통을 짠다. 5개 혹은 7개의 줄을 매되 윗면에는 검은 칠을 하고 자개를 박아 휘(徽)를 만든다. 오른손가락으로 줄을 뜯고 왼손가락으로 휘를 짚어 음을 조절한다.

[편집]

瑟 탄현악기의 하나. 사부악기. 당악기. 긴 오동나무 통에 25개의 줄을 매어 손가락으로 뜯는다. 문묘제례악에만 쓰이는 드문 악기이다. 중국에서 상고시대부터 쓰던 악기로, 우리나라에서는 고려 예종 11년에 중국에서 들여온 기록이 있다. 앞면은 오동나무, 뒷면은 밤나무 혹은 엄나무를 써서 길이 7자, 넓이 8치 되게 길고 얇게 통을 만든다. 25개의 줄을 매고 안족(雁足)으로 괴되 제13현은 윤현이라 하여 쓰지 않는다. 12율로 조현(調絃), 음넓이는 황조·다(C)에서 청응종·나(b)까지 2옥타브가 된다. 연주법은 오른손 식지로 아래 옥타브를 유니손으로 연주한다.

향비파[편집]

鄕琵琶

탄현악기의 하나. 사부악기. 향악기. 갸름하고 둥근 통 한 끝에 길고 가는 목이 있고, 여기에 괘를 붙이고 목 끝과 통에 5개의 줄을 매어 술대로 탄다. 이조 중기까지 노래와 춤의 반주로 쓰여왔으나 지금은 거의 쓰는 일이 없다. 거문고·가야금과 더불어 신라(新羅) 삼현(三絃)에 들던 악기이나, 원래 서역지방 악기가 고구려를 통하여 들어온 것으로 추측된다. 통은 타원형인데, 앞면은 오동나무, 뒷면은 밤나무를 쓴다. 당비파는 목이 굽었으나 향비파는 목이 곧다. 괘는 12개이고 줄은 5개이다. 연주법은 가슴에 비파를 안고 왼손으로 목 밑을 쥐어 손가락으로 괘를 짚고 오른손으로 술대를 쥐고 탄다. 이조 말기부터 술대가 없이 손가락으로 타기 시작했다. 조현법은 평조조현법(平調調絃法)과 계면조조현법(界面調調絃法) 각각 일곱 가지가 있었다 한다.

당비파[편집]

唐琵琶

탄현악기의 하나. 사부악기. 당악기. 갸름하고 둥근 통 한 끝에 길고 가는 목이 있고, 여기에 괘를 붙이고 목 끝과 통에 4개의 줄을 매어 발목(撥木)으로 탄다. 중국에서 들어왔으나 그 근원은 서역에 있다. 고려 문종 때 보였던 것이 당비파에 대한 우리나라의 최고기록이라 한다. 고려시대에는 당악에 쓰였으나, 조선에 와서 당악은 물론 향악에서도 많이 쓰였다. 지금은 거의 쓰는 일이 없다. 통은 타원형인데, 앞면은 두충 혹은 노목(蘆木)을 쓰고, 뒷면은 화리(華梨) 또는 철양(鐵楊)을 쓴다. 향비파는 목이 곧고 줄이 5개이나, 당비파는 목이 굽어 있고 줄이 4개이다. 괘는 10개이다. 넓고 얇은 발목(撥木)으로 탔었으나 조선 말기부터 손으로 타기 시작했다. 연주법은 가슴에 비파를 안고 왼손으로 목 밑을 쥐어 손가락으로 괘를 짚고, 오른손으로 발목을 쥐고 탄다. 조현법은 당악식과 향악식이 있다.

월금[편집]

月琴

탄현악기의 하나. 사부악기. 당악기. 둥근 통에 긴 목을 달며 목에 주(柱)를 여러 개 붙이고, 목과 통에 걸쳐 줄을 4개 매어 손가락으로 뜯는다. 예전에 향악에 쓰였으나 지금은 쓰지 않는다. 월금은 일명 완함(阮咸)이라고도 하는데, 고구려 벽화에 이것이 보인다. 악기 만드는 재료는 당비파와 같으며, 줄은 4개, 주는 13개이다. 조현법은 당비파 향악식과 같다.

공후[편집]

탄현악기의 하나. 사부악기. 틀에 여러 줄을 매고 세워 타는 현악기로, 하프와 같은 종류이다. 이 악기는 삼국시대에 쓰였으나, 그 뒤 끊어져 버렸다. 국립음악원에 있는 수공후, 와공후, 대공후, 소공후는 1937년 중국에서 사들인 것이라 한다. 수공후는 21현, 와공후는 13현, 대공후도 13현으로 되었다.

양금[편집]

洋琴

탄현악기의 하나. 네모진 통에 철사를 여러 개 매고 작은 대나무채로 친다. 소리가 맑고 청아하며 줄풍류에 주로 쓰이지만 한국악기의 특징적인 농현을 하지 못하는 결점이 있다. 양금은 서양금(西洋琴)의 준말이고, 또 구라철사금(歐邏鐵絲琴)이라 부르는 것에서 알 수 있듯이 서양악기가 중국을 통하여 조선 말기에 들어온 것이다. 나란히꼴(平行四邊形)의 상자모양, 오동나무 판으로 짠 통에 주석과 철로 합금한 철사를 한 벌에 4줄씩 하여 14벌 56줄을 얹었다. 줄은 통에 못을 박아 돌려가며 조율하게 되었다. 줄 밑에는 통을 가로지른 쇠로 된 괘 둘을 세우는데, 오른편 것은 우괘, 왼편 것은 좌괘라고 부른다. 못을 덮는 덮개, 줄 전체를 덮는 뚜껑은 배나무판으로 만든다. 줄을 치는 채는 가는 대나무로, 끝이 약간 두꺼운 머리공이가 달려 있다. 연주법은 양금을 앞에 놓고 앉아서 오른손에 양금채를 엄지·식지·장지로 가볍게 쥐고 친다. 한벌 4줄은 같은 음으로 조율된다. 양금을 치는 부분은 오른편 괘의 왼쪽 줄·왼편 괘의 오른쪽 줄·왼편 괘의 왼쪽줄을 쓰고, 오른편 괘의 오른쪽 줄을 쓰지 않는다. 조현법과 구음은 아래와 같다. 오른편 괘 왼쪽 줄

제1현 황종·내림마(e flat)·청

제2현 태주·바(f)·청

제3현 협종·내림사(g flat)·청

제4현 중려·내림가(a flat)·흥

제5현 임종·내림나(b flat)·둥

제6현 남려·다(c1)·등

제7현 무역·내림라(d1 flat) 왼편 괘 오른쪽 줄

제1현 황종·내림마1(e1 flat)·당

제2현 태주·바1(f1)·동

제3현 협종·내림사1(g1 flat)·지

제4현 중려·내림가1(a1 flat)·징

제5현 임종·내림나1(b1 flat)·칭

제6현 남려·다2(c2)

제7현 무역·내림라2(d2 flat) 왼편 괘 왼쪽 줄

제1현 임종·내림나1(b1 flat)·당

제2현 남려·다2(c2)·동

제3현 무역·내림라2(d2 flat)·지

제4현 황종·내림마2(e2 flat)·징

제5현 태주·바2(f2)·칭

제6현 고선·내림사2(g2 flat)

제7현 중려·내림가2(a2 flat)·쫑

타악기[편집]

편종[편집]

編鐘

유율(有律) 타악기의 하나. 금부악기. 아악기. 나무틀에 각각 다른 음을 내는 조그만 종을 16개 매달아 채로 쳐서 높고 낮은 음을 낸다. 중국에서 상고시대부터 쓰던 악기로 우리나라에는 고려 예종 11년에 들어왔고 조선 세종 때에는 박연(朴堧)에 의하여 정리 제작되었다. 문묘제례악·종묘제례악·연례악 등에 쓰이며 합주에 웅장한 효과를 더해준다. 종을 매다는 틀은 두 단으로 되었고, 한 단에 8개씩 16개 종을 차례로 매단다. 틀에는 여러 가지 장식이 붙어 있다. 구멍이 뚫린 장방형 방대(方臺) 위에 목사자(木獅子) 한 쌍을 얹고 여기에 틀이 세워진다. 틀 위의 양편은 용두(龍頭)가 조각되어 있고 색사유소(色絲流蘇)를 늘어놓았다. 대의 꼭대기에는 목공작(木孔雀) 5개를 꽂아 놓았다. 연주자는 대 앞에 앉아 오른손에 채를 들고 치는데, 채는 각퇴(角槌)라 부르며, 암소 뿔로 공이를 만들고 뭇푸레(靑苔木) 자루에 꽂아 친다. 종은 모두 크기가 같되 두께의 차이로 높은 음과 낮은 음이 난다. 조율은 12율 4청성으로 되었고 음넓이는 황종(다·c)에서 협종(올림라1·d1 sharp)까지이다. 아랫단은 오른편에서 왼편으로 반음씩 높아가고 윗단은 그와 반대로 반음씩 높아간다.

특종[편집]

特鐘

유율(有律) 타악기의 하나. 금관악기. 아악기. 나무대에 종 하나를 매달아 채로 친다. 문묘제례악과 종묘제례악에서 음악이 시작할 때 쓴다. 중국 고대악기로 고려 때 들어왔을 것으로 보이나 확실한 것은 알 수 없고 조선 세종 때에 쓴 기록이 있다. 틀의 모양과 연주법은 편종과 같다. 지금 연주되는 특종은 황종(다·c)으로 조율하지만 예전에는 12율의 12종특종이 있었다 한다.

방향[편집]

方響

유율 타악기의 하나. 금부악기. 당악기. 나무틀에 각각 다른 음을 내는 네모진 조그마한 철판을 16개 걸어 놓고 채로 쳐서 높고 낮은 음을 낸다. 중국 양나라에서 나왔다 하며 우리나라에선 고려 문종 때에 쓰인 기록이 있고 예종 때 중국에서 들어온 기록이 있다. 옛날은 당악과 고취(鼓吹)에 쓰였으나 지금은 별로 쓰는 일이 없다.

틀은 편종과 비슷하나 목공작(木孔雀)과 유소(流蘇)가 없다. 철판은 강한 쇠붙이로 만들고 철판에 구멍을 뚫어 실로 꿰어 두 단에 가로 건다. 조율법·음넓이·배열·연주법은 편종과 같다.

운라[편집]

雲羅

유율 타악기의 하나. 금부악기. 당악기. 나무틀에 구리로 만든 접시모양의 조그만 징을 10개 매달고 채로 쳐서 높고 낮은 음을 낸다. 주로 취타(吹打)에 쓰던 악기로 소리가 맑고 영롱하다.

중국에서 쓰던 악기인데 우리나라에는 조선 후기에 들어온 것 같다. 징을 매다는 틀은 아래에서부터 세 칸씩 3단이고 꼭대기 단엔 한 칸만 되어 10칸이 있는데, 칸마다 징 하나씩 매단다. 맨 아래칸은 왼편에서 오른편으로, 다음 위칸은 오른편에서 왼편으로, 다음 위칸은 왼편에서 오른편으로, 마지막 꼭대기 징 순서로 낮은 음에서 높은 음이 난다. 행진 때 연주법은 왼손으로 자루를 들고 오른손으로 작은 방망이채를 들어 친다. 진연(進宴) 같은 데서 연주할 때에는 손잡이를 대바침에 꽂아 놓고 친다.

편경[편집]

編磬

유율(有律) 타악기의 하나. 석부악기. 아악기. 나무틀에 얇게 깎아 각각 다른 음을 내는 돌을 16개 매달아 채로 쳐서 높고 낮은 음을 낸다. 은나라 고도(古都)에서 경(磬)이 출토되었던 만큼 중국의 상고시대부터 있었던 악기이다. 우리나라에는 고려 예종 11년에 들어왔다는 기록이 있으며 조선 세종 때 박연이 명을 받아 제작하여 썼다. 문묘제례악·종묘제례악·연례악 등에 쓰인다. 나무틀은 편종과 같으며 다만 방대 위에 놓인 목사자 대신 백아를 쓰고, 유사 대신 적(翟)을 다룬 것이 다르다. 경돌(磬石)은 옥돌(玉石)을 쓰며 편종과 같이 위 아래 두 단(二段)으로 매달되 한 단에 8개씩 모두 16개를 음높이 순으로 매달아 놓았다. 경돌은 ㄱ자 모양으로 얇게 깎는데 두께에 따라 음높이가 다르며 얇을수록 낮은음이 난다. 조율은 편종과 같이 12율 4청성으로 되었고, 음넓이는 황종(다·c)에서 협종(올림라2·d2 Sharp)까지로 편종보다 1옥타브 높다. 경돌의 배열법 및 연주법은 편종과 같다.

특경[편집]

特磬

유율 타악기의 하나. 석부악기. 아악기. 나무틀에 얇게 깎은 돌을 하나 매달아 채로 친다. 문묘제례악과 종묘제례악에서 음악이 그칠 때 쓴다. 틀의 모양과 연주법은 편종과 같다. 지금 연주되는 특경은 황종(다1·c1)으로 조율된다.

자바라[편집]

무율 타악기. 금부악기. 접시모양의 엷고 둥근 놋쇠판으로 된 것 한쌍을 마주쳐서 소리낸다. 자바라는 바라 혹은 제금이라 불리며 발이라고도 한다. 취타(吹打)·무속음악(巫俗音樂)·궁중무용·불교무용 등에 쓰인다. 바라가 쓰인 우리나라 최고 기록은 <고려도경(高麗圖經)>의 기록이다.

[편집]

鉦·大金 무율 타악기. 금부악기. 크고 둥근 놋쇠판에 끈을 달아 부드러운 뭉치로 된 채로 친다. 징은 한편으로 라, 증라 혹은 동라로 불리는데, 지름이 6치 정도의 작은 것은 소라라 하고, 1자 정도 큰 것은 대라라 한다. 이것과 비슷하나 따로 대금(大金)이 있는데 이것은 더욱 커서 1자 2치 정도이다. 군악기(軍樂器)로 취타 혹은 군중신호로 치는 것은 금증(金鉦)·금라·금(金)이라 하고, 종묘제례악에 쓰이는 것은 대금이다. 불교음악에서는 라·무속음악과 농악에서는 그냥 징이라 한다. 징과 대금은 중국에서 상고시대부터 썼던 것으로 우리나라에서는 고려 때 썼던 기록이 있으나 그 이전에 썼는지는 아직 밝혀지지 않고 있다.

꽹과리[편집]

小金 무율 타악기. 금부악기. 작고 둥근 놋쇠판에 끈을 달아 들고 나무공이가 달린 채로 친다. 종묘제례악에서 쓰이는 것은 소금(小金)이라 불리고, 농악·불교음악·무속음악에 쓰이는 것은 광쇠(廣釗)·깽새기·꽹매기라고도 부른다.

[편집]

拍 무율 타악기. 목부악기. 당악기. 얇고 긴 나무판을 여섯 장 책처럼 한끝을 매고 폈다가 힘주어 접어 쳐서 소리를 낸다. 종묘제례악, 연례악에서 주로 음악의 시작과 끝에 친다. 박판(拍板)이란 이름으로 신라 말기부터 쓰여 왔다. 나무재료는 화리(華梨)나 황상(黃桑)이 좋다. 나무판의 크기는 길이 1자 3치·윗넓이 1치 9푼·두께 3푼·아래넓이 2치 4푼·두께 4푼이 되고, 위쪽에 구멍을 파서 나무판 6개를 끈으로 매는데 끈의 나머지는 연장시켜 길이 2자 7치쯤 늘린다. 박을 치는 법은 이를 두 손으로 모아 잡고 아래쪽을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벌렸다가 왼손은 움직이지 않고 오른손으로 벌렸던 박판을 급히 접으며 쳐서 소리를 낸다.

[편집]

무율 타악기. 목부악기. 아악기. 나무판으로 육면체의 통을 짜고 윗면에 구멍을 뚫고, 방망이를 넣어 친다. 문묘제례악과 종묘제례악에서 음악을 시작하는 신호로 친다. 중국의 고대악기로 우리나라에는 고려 예종 11년에 들어왔다.

[편집]

무율 타악기. 목부악기. 아악기. 나무로 된 엎드린 호랑이 모양을 조각하여 등줄기에 27개의 굵은 톱날을 달아서, 대나무를 갈라 만든 견죽(甄竹)을 손에 들고 머리쪽에서 꼬리쪽으로 긁어 소리낸다. 문묘제례악과 종묘제례악에서 음악이 끝나는 신호로 쓴다. 중국 고대악기로 우리나라에는 고려 예종 11년에 들어왔다.

[편집]

缶 무율 타악기. 토부악기. 아악기. 진흙으로 구운 질화로 모양의 그릇을 대나무를 갈라 만든 견죽이라는 채로 쳐서 소리낸다. 문묘제례악에 쓰이는 매우 보기 드문 악기이다. 중국에서 상고시대부터 쓰던 악기로 우리나라에는 언제 들어왔는지 모르나 조선 세종 때 박연이 전에 있던 것을 바로 잡은 기록이 있다. 예전에는 각각 여러 음을 내는 제도가 있었으나 지금은 한 개만 쓰며 음높이에 관여하지 않는다.

장구[편집]

長鼓

무율 타악기. 혁부악기. 당악기. 통 두 개를 연결한 긴 통의 양쪽에 가죽을 맨 둥근 테를 대고 줄로 서로 얽어 죄어 친다. 향악·당악계연례악·줄풍류·대풍류·민속무용곡·농악·무악·가곡·잡가·민요의 반주 등 매우 널리 쓰이는 악기이다. 장구는 고려 예종 때 중국에서 들어왔으나 그보다 먼저 문종 때의 기록에 장구가 보이고 고구려 벽화에도 보인다. 장구는 두 개의 오동나무 통을 가느다란 조롱목으로 연결시켰는데 전체 길이는 2자 2치쯤 되며 통의 지름은 9치 반쯤 된다. 지름이 한자 반이 되는 쇠로 된 테(圓鐵)에 가죽을 매고 통 양편에 하나씩 대고, 테에 군데군데 걸겅쇠(鈞鐵)를 걸고 한푼 굵기 줄로 된 숫바로 얽어 맨다. 얽은 줄에 부전(縮綬)을 끼워 죈다. 그리고 오른손에는 가늘고 유연한 대나무로 된 '열채'를 들고 치고 왼손은 맨손으로 손바닥을 펴서 치거나 가는 대에 밤알만한 나무공이를 단 '궁굴채'로 치기도 한다. 정악에서는 손바닥으로 치고 농악과 무악에서는 '궁굴채'로 친다. 통에 죄어진가죽면을 '굴레'라 하고 굴레 밖의 테와 공간의 가죽면을 '변죽'이라 한다. 오른편 굴레는 채편이라 하고 왼편 굴레는 북편이라 한다. 북편은 쇠가죽을 써서 무거운 소리가 나게 하고 채편은 말가죽 때로는 개가죽을 써서 경쾌한 소리가 나게 한다. 양손을 치면 '떵'이라 하고 북편을 치면 '쿵(鼓)', 채편을 치면 '떡(鞭)', 채편에 앞꾸밈음을 써서 치면 '기덕', 채를 트레몰로같이 굴리면 '더러러(搖)'라고 한다. 굿거리 구음(口音)은 '떵 ○ 기덕·쿵 ○ 더러러·떵 ○ 기덕·쿵 떡 쿵'이라 한다. 정악에서는 땅에 놓고 앉아서 치고 농악이나 선소리(立唱)에서는 끈을 달아서 어깨에 메고 친다.

갈고[편집]

무율 타악기. 혁부악기. 장구와 거의 같은 모양이며 다만 축수가 양쪽으로 죄게 되고 열채를 양손에 쥐고 친다. 채를 양손에 쥐고 친다 하여 '양장구'라고도 부른다. 서역에서 나온 악기이며 우리나라에서는 언제부터 써 왔는지 밝혀져 있지 않으나 조선 말기에 궁중음악에 쓰였던 기록이 있다. 현재는 쓰지 않고 있다.

절고[편집]

節鼓

무율 타악기. 혁부악기. 아악기. 상자모양의 나무로 된 방대(方臺) 위에 올려놓고 치는 작은 북. 문묘제례악과 종묘제례악에서 쓰인다. 중국 수나라 때 만들었고 조선 세종 때 들어왔다고 하나 조선 중기에 제작했다고 하는 이도 있다.

진고[편집]

晋鼓

무율 타악기. 혁부악기. 아악기. 네 개의 기둥에 가름대(橫木)를 설치한 나무틀에 얹어 놓고 치는 큰북(祭享樂). 문묘제향악·종묘제향악의 헌가(軒架)에 쓰인다. 중국에서 쓰이던 악기로 우리나라에는 고려 예종 때 들어왔다. 지름이 3자 5치 2푼, 길이가 5자나 되어 북 중에서 가장 크다.

좌고[편집]

座鼓

무율 타악기. 혁부악기. 나무로 된 틀에 매달아 치는 작은 북. 연례악이나 무용음악에 쓰이며 장구와 같이 편성하여 장구의 북편이 쳐지는 박(拍)을 따라 친다. 삼현육각(三絃六角) 편성은 피리 둘·대금·해금·장구·북 등인데 여기서 북은 좌고로 치는 것이 일반적인 예이다.

교방고[편집]

敎坊鼓

무율 타악기. 혁부악기. 당악기. 네 발로 된 나무틀 위에 북가죽이 위로 가도록 걸린 북. 북통의 둘레에는 용이 그려져 있다. 본래 당악계 음악에 쓰였으나 오늘날에는 무고(舞鼓)춤에 쓰인다. 중국에서 당나라 때 쓰던 악기로 우리나라에서는 고려 때부터 쓰여 왔다.

용고[편집]

龍鼓 무율 타악기. 혁부악기. 북의 일종으로 북통 양편에 고리를 달고 끈을 매어 어깨에 메되 북이 앞배에 오게 하고 북면이 위로 오게 하여 양손에 북채를 쥐고 내리친다. 태평소·소라·징 등과 함께 대취타(大吹打)에 편성된다. 중국에서 고대부터 쓰였다 하며 우리나라에서도 일찍부터 쓰였겠으나 언제부터인지 확실한 것은 밝혀져 있지 않다. 북면의 지름은 1자 4치, 북통의 높이는 7치이다.

중고[편집]

中鼓

무율 타악기. 혁부악기. 지름이 2자 5치·길이 2자 2치 5푼 정도의 북으로 옛날에 용고(龍鼓)와 같이 군중(軍中)에서 쓰였으나 지금은 쓰지 않고, 악기도 전해지지 않는다.

건고[편집]

建鼓

무율 타악기. 혁부악기. 아악기. 북의 일종인데 십자형으로 호랑이 네 마리를 붙인 나무로 된 발 위에 기둥을 세우고 그 위에 북을 얹었다. 지름이 3자 5치, 통의 길이 4자 9치 5푼으로 진고 다음으로 큰 북이다. 북 위에는 네 기둥을 세우고 그 위에 방개(方蓋) 둘을 위아래로 얹고 모서리에 붉고 푸른 휘장을 둘러치고, 밑에 있는 방개에는 오색사 유소(流蘇)를 길게 물린 용간(龍竿)을 꽂고, 위 방개에는 날개를 편 백로를 세워 놓아 매우 호화스럽다. 높이는 13자 7치로 국악기 중에서 가장 높은 키를 가진 악기이다. 궁중의 식에서 회례연(會禮宴) 헌가(軒架) 및 전정(殿庭) 헌가(軒架)에 쓰였으나 궁중의식이 없어지면서 쓰이지 않게 되었다.

삭고[편집]

朔鼓

무율 타악기. 혁부악기. 아악기. 엎드린 네 마리 호랑이를 새긴 두 대 위에 틀을 세우고 지름 1자 4치 4분·길이 2자 6치 3푼 되는 긴 북을 매달아 친다. 틀 위에는 흰색을 칠한 해의 모양을 달았다. 궁중 조회와 연향(宴享) 때 시작을 성하게 하는 북으로 전정 헌가에 썼으나, 지금은 쓰는 일이 거의 없다.

응고[편집]

應鼓

무율 타악기. 혁부악기. 아악기. 삭고와 모양과 크기가 거의 같고 다만 틀 위에 붉은 칠을 한 달모양을 단 것이 다르다. 고려 예종 11년에 중국에서 들어온 기록이 있다. 쓰이는 법도 삭고와 비슷하다.

뇌고·뇌도[편집]

무율 타악기. 혁부악기. 아악기. 한쪽 면만 가죽을 맨 작은 북을 여섯 개 모아 둥글게 붙인 것을 색사유소를 단 삭고와 같은 틀에 매단 것이 뇌고이고, 길고 작은 양면북 세 개를 긴 장대에 꿰어 놓고 큰 구슬을 단 가죽끈을 달아 흔들어 치는 것이 뇌도이다. 천신(天神)의 제향(祭享)인 원단제에 썼으나 지금은 쓰지 않는다.

영고·영도[편집]

무율 타악기. 혁부악기. 아악기. 뇌고·뇌도와 같으나 북면이 여덟이다. 옛날 사직제(社稷祭)에 썼으나 지금은 쓰지 않는다.

노고·노도[편집]

무율 타악기. 혁부악기. 아악기. 양쪽면을 가진 긴 북통을 두 개 십자형으로 꿰어 틀에 단 것이 노고이고, 노도와 같되 두 개의 긴 북을 꿴 것이 노도이다. 예전에 선농제(先農祭)·선잠제(先蠶祭)·우사(雩禍)·문묘제(文廟祭)에 썼으나 지금은 문묘제향에만 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