朝鮮語規範集 (2010)/分かち書き規定

提供:Wikisource

分かち書き規定[編集]

偉大なる首領金日成同志においては,次の通り教示なさった。

「国語を見やすくするには,分かち書きをしっかりと規定することが重要です。」(『金日成全集』36巻, 512頁)

総  則

単語を単位として分かち書きをすることを原則とするが,文を読解しやすいように一部の場合には,続け書きをする。

第1項. 吐の後の単語や,品詞が互いに異なる単語は,分かち書きをする。

例:

― 선군정치는 민족의 자주성을 위한 필승의 보검이다.
― 하나에 하나를 합하면 더 큰 하나가 된다.
― 두 대학생의 아름다운 소행
― 온갖 새들이 찾아드는 숲
― 전쟁시기 잘 싸운 로병부부
― 아, 얼마나 아름다운 마을인가!
― 옴의 법칙, 피타고라스의 정리
― 지녁을 먹은 후에 보자.
― 일을 시작하기 전에 준비작업을 빈틈없이 해야 한다.

第2項. 一つの対象又は行動,状態を表す文節は,吐が挟まり,又は品詞が異なっても,続け書きをする。

1) 吐がなくして構成され,一つの対象又は行動,状態を表す場合

例:

― 선군혁명로선, 군사중시사상, 조선민족제일주의
― 건설하다, 각성하다, 궐기시키다, 꽃피다, 불타다, 애쓰다, 때이르다, 가슴뜨겁다, 기쁨어리다, 꿈꾸다, 잠자다
― 척척박사, 갑작부자, 만세소리
― 1호발전기, 3호변전소
― 최신형설비, 혁명적군인정신, 조선식사회주의
― 세손가락울림법, 미리덥히기, 갑작변이
― 새날, 새서방, 별말씀, 온종일, 총지휘자, 총참모부, 대조선정책
― 아침저녁, 서로서로, 가슴깊이, 다같이, 때아닌, 첫째가는, 지대공미싸일

2) 吐を有して構成され,一つの対象又は行動,状態を表す場合

例:

― 작은아버지, 큰고모, 잔돈, 맬가방, 앉을자리, 가까운바다, 먼바다, 찬단물, 식은땀
― 모내는기계, 붉은기, 푸른색, 짠맛, 신맛
― 떨어지다, 몰아치다, 놀아나다, 빚어내다, 먹어대다, 붙어잡다, 놀고먹다, 가고말다, 먹고싶다, 짜고들다, 가르쳐주다, 돌아보다, 들었다놓다
― 여러말할것없이, 의심할바없는, 아니나다를가, 가나오나, 가든오든, 가건말건, 달디단, 가네오네, 죽기내기로, 하다못해, 왜냐하면, 무엇보다먼저

第3項. 固有の対象の名称を続け書きするが,節を構成しつつ連続するものは,各節ごとに分かち書きをする。

例:

― 조선로동당,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김책공업종합대학, 대동문식료품상점, 리제순사리원제1사범대학
― 조선로동당 평양시 중구역위원회, 평양시 중구역 대동문동, 사회과학원 행정조직국
― 조선통일지지 라오스위원회, 아시아지역 주체사상연구소
― 제20차 4월의 봄 친선예술축전, 로씨야 차이꼽스끼명칭 모스크바국립음악대학합창단
―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제○기 제○차전원회의,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창건 55돐기념 중앙과학토론회
― 근위 서울류경수105땅크사단, 금성친위 제○○군부대, 2중3대혁명붉은기 ○○공장, 3중영예의 붉은기 ○○소학교
― 김영남군당책임비서, 리순실동사무장, 리남순과학지도국장, 리천호실장선생
― 인민과학자, 원사, 교수, 박사 ○○○선생

第4項. 数詞は百,千,万,億,兆単位で分かち書きをし,数詞の後に続く単位名詞及び一部単語は続け書きをする。

例:

― 3조 2억 8천만
― 7만 8천 6백 20
― 닭알 3알, 살림집 두동, 학습장 5권
― 70평생, 60나이, 20여성상, 3년세월
― 서른살가량, 20명정도, 10℃이하, 150%

[附則] 数量数詞は,整数の場合左から向かって,小数の場合右から向かって3単位ごと分かち書きをする。

例:

1 000 000 000(10억)
0.002 321 67

但し,対象化された単語であり,又は固有名詞である場合は,続け書きをする。

例:

1211고지, 3000t급배

第5項. 不完全名詞(単位名詞を含む)は先行単語に続け書きをするが,その後に続く単語は分かち書きをすることを原則とする。

例:

― 아는것이 힘이다. 모르면서 아는체 하는것은 나쁜 버릇이다.
― 힘든줄 모르고 일한다.
― 커서 인민군대가 될터이다.
― 4월초 봄날씨, 2일부 《로동신문》
― 3개 공병려단

※「등, 대, 겸」は,次の通り分かち書きをする。

― 알곡 대 알곡, 부총리 겸 재정상
― 사과, 배, 복숭아 등(등등)

第6項. 単語間の相補関係を考慮し,意味を理解しやすいよう分かち書きをすることが出来る。

1) 先行単語と意味連絡をしない単語は,分かち書きをする。

例:

― 이 나라 주재 우리 나라 대사관
― 고유한 우리 말 어근으로 새말을 만든다.

2) 続け書きをすると二種類の意味に理解されうるものは,意味が通るように分かち書きをする。

例:

― 김인옥어머니(어머니자신)
― 김인옥 어머니(김인옥의 어머니)
― 중세 언어연구(중세에 진행된 언어연구)
― 중세언어 연구(중세의 언어에 대한 연구)
― 사리원, 평산일대(두 지역 포괄)
― 사리원, 평산 일대(사리원일대, 평산일대)

3) 吐がなくして結合された単位が著しく長く,読解するのが困難であるときは,意味単位で分かち書きをすることができる。

例:

― 3대혁명붉은기쟁취운동 궐기모임참가자들
― 중증 급성 호흡기증후군